약국 약 감기 2편 코감기 (콧물, 코막힘) 일반의약품

내가 산 일반의약품 코감기약의 성분이 궁금하신 분들은 목차 3번 그래서 약국에는 어떤 약들이 있어? 하시는 분은 목차 4번 눌러서 보시면 됩니다!

 

코감기란?

  • 보통 급성비염을 코감기라한다. 알러지성 비염은 염증반응
  • 바이러스나 세균감염이 주 원인이고 이유없이 걸릴때도 있다.
  • 보통 일주일정도 증상이 나타난다
  • 급성비염은 복합코감기약을 복용하고 알러지성 비염은 항히스타민 단일제를 복용하거나 코 스프레이를 사용

코감기 vs 알러지성 비염

  • 코막힘은 공통된 증상
  • 코감기는 누런 콧물, 기침 가래, 몸살증상
  • 알러지성 비염은 맑은 콧물, 재채기, 가려움증

코감기 일반의약품에 들어있는 성분들

항히스타민제(알러지약)

  • 두드러기, 발적, 가려움(소양감) 등의 알레르기성 반응에 관여하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
  • 콧물, 재채기, 불면, 어지러움증, 구토, 멀미등을 완화
  • 졸릴 수 있다.(3세대로 갈 수록 덜함)
  • 항콜린부작용이 있는데 쉽게 이해하려면 몸에 있는 수분을 못 나가게 막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입 마름, 배뇨곤란, 변비 올 수 있어 나이가 많으신 분들은 복용 시 주의 해야한다.
  • 술을 마신다고 큰 부작용이 나타나는 건 아니지만 졸음이 더 온다거나 판단력이 더 떨어질 수 있어 최소 4~6시간 지난 후에 술을 마시는 게 좋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
  • 코 질환, 피부질환

클로르페니라민(페니라민정), 트리프롤리딘(액티피드정), 클레마스틴(마스질정), 메퀴타진(프리파란정), 피프린히드리네이트(푸라콩정)

  • 멀미, 어지럼증, 메니에르병, 구역 구토

디멘히드리네이트(보나링에이정)

  • 불면증

디펜히드라민(슬리펠정)

  • 피부질환에만 사용

히드록시진(아디팜정)

2세대 항히스타민제
  • 2세대는 모두 코 질환과, 피부질환에 사용 가능(예외로 pemirolast(페미로살)만 피부질환에 사용하지 않는다)
  • 1세대보다 뇌로 침투를 덜 시켜 졸음이 오는 부작용이 덜하고 약효도 오래가 하루에 1정씩만 먹으면 된다. (졸음이 덜 오는 거지 아예 안 오는 건 아니라서 보통 저녁에 1정씩 복용)
  • 제일 유명한 세트리진(지르텍), 로라타딘(클라리틴 정)이 있고 그 이외에도 베포타스틴, 아젤라스틴, 에바스틴 등 종류가 다양하다
3세대 항히스타민제
  • 3세대는 졸음이 거의 없고, 간에서 대사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간이 안 좋은 사람도 복용이 가능
  • 레보세트리진(씨잘정), 펙소페나딘(알레그라정)이 있다
  • 펙소페나딘은 용량에 따라 사용 용도가 조금씩 다른데 30mg은 소아용으로 코 질환과, 피부질환에 모두 사용 가능하고 120mg은 성인 코 질환, 180mg은 성인 피부질환에 사용한다. 약국에서는 120mg까지 일반의약품으로 팔고 180mg으로 피부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처방을 받아야 한다.

비충혈제거제

  • 비충혈이란 코안 쪽 혈관들이 충혈되고 팽창되면서 염증성 물질인 히스타민 등을 방출해 코가 막히는데 이걸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 호흡기 점막에 선택적으로 알파 수용체에 작용해 혈관을 수축시켜 비충혈을 완화 시킨다. 또한 베타수용체에도 작용해 기관지를 이완시키는 효과도 있다.
  • 베타수용체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심장이 빠르게 뛰는 효과도 있어 가슴이 두근거릴 수 있어 카페인과 먹을 때 주의해야 한다.
  • 흐르는 콧물보다 코가 막혀 뒤로 먹어가는 콧물에 효과
  • 슈도에페드린, 페닐에프린이 있다.
  • 페닐에프린은 최근에 논란이 있었던 게 FDA에서 경구용 페닐에프린이 코막힘 완화 작용에 관련이 없다고 결론을 내린 일이 있어서 이제 시장에서 없어질 줄 알았지만 계속 사용되고 있다.(https://www.p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6220)

카페인 무수물

  • 항히스타민의 졸림을 방지 할 수 있다.

벨라돈나

  • 항콜린제로 작용하나 코나 피부질환 완화보다는 위 보호 역할을 한다.

약국에 있는 코감기약 종류

약국마다 구비하고 있는 코감기 일반의약품의 종류가 다 다르기 때문에 이 리스트에 없는 것도 있지만 결국 성분을 보면 다 비슷비슷하다.

  • 콜대원노즈에스

아세트아미노펜(해열 진통) 325mg

클로르페니라민(1세대, 콧물) 2.5mg

슈도에페드린염산염(코막힘) 30mg

카페인무수물(졸음방지+해열 진통효과 상승)

해열진통제가 들어있어 다른 약과 같이 복용 시 해열 진통성분이 겹치지 않는지 주의해서 복용

카페인이 들어있어 항히스타민제로 인한 졸림은 덜하지만,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은 주의

  • 액티피드

트리프롤리딘(1세대, 콧물) 2.5mg

슈도에페드린(코막힘) 60mg

코막힘이 심한 콧물감기나 알레르기 비염치료에 좋다

  • 시노카엔

클로르페니라민(1세대, 콧물) 4mg

벨라돈나(위 보호) 0.13mg

페닐에프린(코막힘) 3.33mg

벨라돈나도 항히스타민제 종류이기 때문에 입 마름이나 배뇨곤란 등 부작용이 좀 더 심할 수 있어

연세가 많은 어르신들은 주의가 필요하다

  • 그린노즈에스, 콘택골드

클로르페니라민(1세대, 콧물) 3mg

벨라돈나(위 보호) 0.13mg

페닐에프린(코막힘) 10mg

시노카엔과 비슷한 성분인데 항히스타민을 줄이고 페닐에프린양을 늘렸다. 근데 위에서 말한 거와 같이 페닐에프린의 효과가 없다고 FDA에서 판단을 했기 때문에 효과에 대한 기대는 크지 않을 거 같다.

  • 화콜노즈, 하디코

아세트아미노펜(해열 진통) 500mg

클로르페니라민(1세대, 콧물) 3mg

슈도에페드린염산염(코막힘) 30mg

아세트아미노펜이 500mg나 들어있기 때문에 이거 먹고 타이레놀 또 먹으면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

  • 화이투벤큐노즈

아세트아미노펜(해열 진통) 360mg

트리프롤리딘(1세대, 콧물) 1.32mg

슈도에페드린염산염(코막힘) 30mg

덱스트로메토르판(기침.가래) 16mg

메틸에페드린(기관지확장) 25mg

진해거담제 성분까지 들어있어 코가 심하게 막혀 콧물이 뒤로 넘어가 가래가 생기는 경우에 좋다

  • 모드코에스

아세트아미노펜(해열 진통) 400mg

클로르페니라민(1세대, 콧물) 3mg

슈도에페드린염산염(코막힘) 30mg

  • 아웃콜코

아세트아미노펜(해열 진통) 400mg

클로르페니라민(1세대, 콧물) 3mg

슈도에페드린염산염(코막힘) 30mg

카페인무수물 40mg

소청룡( 생약성분으로 콧물 재채기 코막힘에 효과있다)

혹시 다른 약을 먹어봤는데 효과가 없다 하신 분들은 생약제제을 한번 복용해 보는 것도 추천드린다. 생약성분이 잘 맞는 사람들은 생약제제들만 찾을 정도로 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 그 외 일반의약품 코감기약

일반의약품 코감기 콧물 코막힘 재채기

그 외에도 많은 일반의약품이 있는데 성분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이 글을 읽고 성분을 본다면

어떤 약인지 대충 파악 할 수 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