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벽에 작용하는 항생제
-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 카바페넴
- 반코마이신, 테이코플라닌, 뎁토마이신
리보솜에 작용
- 30s – 테트라사이클린 , 아미노글로코사이드,
- 50s – 마크로라이드, 클린다마이신, 리네졸린
DNA 합성을 억제하는 항생제
- 플루오로퀴논
페니실린(penicillins)
작용기전 – 세균의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에 결합해 기능을 불활성화 시킴
1. 천연 페니실린계(penicillin G – 주사/ V – 경구/ benzathin G – 근육주사)
-
-
- 매독에 사용
-
1기, 2기, 초기 잠복 결핵 – benzathin penicillin G 근육주사(IM)로 1회
후기 잠복 결핵 – benzathin penicillin G 근육주사(IM)로 QW(일주일에 한번) 총 3회
-
-
- 가스괴저에 사용
-
페니실린 G IV로 4시간 간격으로 투여/ 클린다마이신 IV로 8시간 간격으로 투여
-
-
- 괴사성 근막염
-
페니실린 G IV로 4시간 간격으로 투여/ 클린다마이신 IV로 8시간 간격으로 투여
-
-
- 베타 락타마아제에 의한 내성이 생겨 천연 페니실린은 잘 사용 안함
-
2. 아미노페니실린
1)amoxicillin/clavulanate – 경구/대표적으로 오구멘틴
- 중증 급성중이염 유소아 환자 1차 약물(중증이 아닐경우 amoxicillin 단독으로 사용)
- 급성 세균성 부비동염 소아 1차 약물
- GABHS 인두염 대체 약물(amoxicillin 우선사용)
- CAP(지역사회폐렴) 외래 및 일반 병동 입워환자 경험적 항생제 중 한 선택지
- 임산부 요로감염(세파계도 사용)
2)ampicillin/sulbactam – 주사 제제(경구보다 효과 빨라서 좀더 중증에 사용)
-
- 면역저하된 사람의 세균성 뇌수막염
(기본적으로 뉴모코커스와 헤모플러스 인플루엔자 원인균을 잡기 위해 세파계인 세포탁심이나 세프트리악손에 MRSA커버 위해 반코바이신을 같이 사용하는데 면역저하자에 한정으로 listeria균이 감염될 수 있어 암피실린을 추가로 사용)
(상기도 감염 원인균으로 왜 아목시실린 말고 세포탁심이나 세프트리악손 사용하나? – 뇌수막염은 뇌로 가기 위에 BBB를 통과해야하는데 세포탁심이나 세프트리악손이 지용성이 높아 BBB통과 가능해서 사용)
- 일반 입원 환자 폐렴
( ICU(응급병동) 입원 환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녹농균(pseudomonas) 커버를 해야하는데 만약 녹농균 리스크가 없는 환자라면 사용 가능)
3)piperacillin/tazobactam
- 녹농균커버(anti- pseudomonas)
cf) pseudomonas 커버 항생제 – PIP/TAZ, ceftazime, cefoperazone, cefepime, carbapenem(mero, imi, dori), FQ(cipro, levo, gati), cilstin, AG(gentamicin, amikacin, tobramycin)
4)페니실린 부작용
- Anaphylaxis – 설사(광범위 항생제 복용시 장의 균들이 바뀌는 과정에서 설사유발),신독성, 신경독성(발작/경련), 혈액독성(혈구감소증)
- 페니실린 알러지 있는 사람들은 3~5프로 정도는 세파계 알러지도 가지고 있음 그래서 상기도 감염시에는 클린다마이신을 사용
cf) 병원에서 항생제 쓰는 순서
ampicillin/sulbactam,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 녹농균 커버 위해 PIP/TAZ , 세페핌-> 이것도 커버가 안된다면(열이 안내린다, 혈압이 계속 떨어진다) 카바페넴을 사용
cf) 가장큰 상기도 감염의 원인균
뉴모코커스, 스트렙토코코스 뉴모니아, 헤모플러스 인플루엔자, 모락셀라 카탈라리스, 슈도모나스